License
[정보보안기사필기] 정보시스템의 범위 및 이해
prinha
2025. 4. 29. 19:16
728x90
반응형
가상 메모리 관리 기법
Paging : 메모리 크기를 고정으로 분할 -> 내부 단편화
Segmentation : 메모리 크기를 가변으로 분할 -> 외부 단편화
캐시 메모리
CPU와 주기억장치간의 속도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만들어진 고속 버퍼
캐시 메모리의 Memory Mapping 방법
직접매핑(Direct Mapping)
연관매핑(Associative Mapping)
집합연관매핑(Set Associative Mapping)
캐시 메모리 교체 알고리즘
Random - 오버헤드가 적음
FIFO - 자주 사용되는 페이지 교체 가능성
LFU 사용 횟수 가장 적은 페이지 - 최근 적재된 페이지 교체 가능성 있음
LRU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은 페이지 - 타임 스탬핑에 의한 오버헤드 존재
Optimal 향후 가장 참조되지 않을 페이지 - 실현 불가
NUR 참조 비트와 수정 비트로 미사용 페이지 교체
SCR - 기회를 한번 더 줌
캐시 메모리와 주기억장치 간에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정책
Write Through : CPU가 캐시 메모리와 주기억장치 동시 수정
Write Back : 캐시 메모리만 수정 후 나중에 일괄적으로 주기억장치 수정
TLB(Translation Look aside Buffer)
페이지 테이블 접근에 따른 지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변환 버퍼
MMU(Main Memory Unit)
주기억장치와 캐시의 메모리 주소를 변환하는 역할
입출력 기법
CPU 경유 : 프로그램에 의한 입출력, 인터럽트 입출력
CPU 비경유 : DMA(Direct Memory Address), IO Channel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