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알고리즘에서의 시간 복잡도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산 횟수 (일반적으로 1억 번의 연산을 1초의 시간으로 간주)
- 빅-오메가 : 최선 ex) 1번
- 빅-세타 : 보통 ex) n/2번
- 빅-오 : 최악 ex) n번 -> 항상 최악의 케이스 염두 해둘 것
연산 횟수 계산 = 알고리즘 시간 복잡도 X 데이터의 크기
-> 위의 공식을 대입해 해당 알고리즘이 문제에 적합한지 판단함
-> 시간 복잡도 도출시 상수는 계산에서 제외 ex) 3N -> N
-> 가장 많이 중첩된 반복문의 수행 횟수가 시간 복잡도의 기준이 됨
디버깅
문법 오류나 논리 오류를 찾아 바로잡는 과정
1) 변수 초기화 오류 Variables탭
2) 반복문 인덱스 범위 지정 오류 ex) i<N, i<=N, i<N-1
3) 잘못된 변수 사용 오류
4) 자료형 범위 오류 ex) int -> long형으로 선언하자
728x90
반응형
'Today I Learned(TIL) > 코딩 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자바 알고리즘 코딩 테스트 개념 : 구간 합 구하기 (0) | 2025.02.12 |
---|---|
[TIL] 자바 알고리즘 코딩 테스트 개념 : 구간 합 알고리즘 (0) | 2025.02.12 |
[TIL] 자바 알고리즘 코딩 테스트 개념 : 평균 구하기 (0) | 2025.02.12 |
[TIL] 자바 알고리즘 코딩 테스트 개념 : 숫자의 합 구하기 (0) | 2025.02.12 |
[TIL] 자바 알고리즘 코딩 테스트 개념 : 배열과 리스트 (0)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