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정보보안기사 필기5

[정보보안기사 필기 요약] 전자서명과 PKI 1) 공개키 암호와 전자서명 키 사용 방법공개키 암호 암호모드 : 수신자 공개키로 암호화 -> 수신자 개인키로 복호화 전자서명 인증모드 : 송신자 개인키로 서명 -> 송신자 공개키로 검증 -> 개인키(비밀키)는 개인이 갖고, 공개키는 누구나 소유할 수 있음 2) 전자서명의 주요 기능 -> 기밀성X - 위조 불가(Unforgeable) 합법적인 서명자만이 전자서명 생성 가능 - 서명자 인증(User authentication) 전자서명의 서명자를 불특정 다수가 특정할 수 있음 - 부인 방지(Non-repudiation) 서명자는 서명한 사실을 부인할 수 없음 - 변경 불가(Unalterable) 서명한 문서의 내용을 변경할 수 없음 - 재사용 불가(Not reusable) 전자문서의 서명을 다른 전자문서.. 2025. 5. 21.
[정보보안기사 필기 요약] 해시함수 해시함수와 응용1) 일방향 해시함수- One-Wayness-Function으로 무결성체크에 이용되며, 주로 포렌식에 사용 - 임의의 길이를 갖는 메시지를 고정된 길이의 해시값, 또는 해시함수로 출력하는 함수 - 고정 길이, 고속 계산 - 메시지가 다르면 해시값 다름 12345/6789 = 1.18...XXXX -> 앞에 버리고 XXXX만 사용 12348/6789 = 1.18...XXXX -> 앞에 버리고 XXXX만 사용 → 앞의 내용을 버리기때문에 역방향 계산 불가, 복호화 불가능 2) 해시함수의 보안 요구사항 ★5 프리이미지 저항성(역상 저항성)제2프리이미지 저항성(두번째 역상 저항성, 약한 충돌 내성)충돌 저항성(강한 충돌 내성)설명y=h(x)를 만족하는 x값을 찾는 것이 계산적으로 불가능h(x1).. 2025. 5. 20.
[정보보안기사 필기 요약] 비대칭키 암호 비대칭키 암호 - 공개키 알고리즘(1) 소인수분해 -> 시간 오래 걸림 (x-α)(x-β) = p ex) RSA, Rabin (2) 이산대수 -> 구하기 힘듦 Gⁿmod P = □ ex) ElGamal, DSA, ECC(타원곡선) ** 대칭키는 평문을 복잡한 형태로 변환해서 기밀성을 유지하고, 공개키는 수학적으로 해결하기 곤란한 문제를 토대로 해서 기밀성 유지 1) 키 배송 문제 해결 방법 -> 비대칭키의 치명적 단점 - 키의 사전 공유에 의한 해결 키 관리기관(TA, Trusted Authority)이 사전에 임의의 두 사용자에게 비밀 경로를 통하여 임의 키를 선택하여 전달하는 방법 Kab = Kba n명이 사용시 키의 개수 = nC2 = n(n-1)/2 = 조합 -.. 2025. 5. 19.
[정보보안기사 필기 요약] 대칭키 암호 대칭키 암호 1) 확산과 혼돈확산(Diffusion) -> 암호문/평문 - 암호문과 평문 사이의 관계를 숨기는 것 - 암호문에 대한 통계 테스트를 통하여 평문을 찾고자 하는 공격자를 좌절시킴 혼돈(Confusion) -> 암호문/키 - 암호문과 키의 관계를 숨기는 것 - 암호문을 이용하여 키를 찾고자 하는 공격자를 좌절시킴 - 키의 단일 비트가 변하면 암호문의 거의 모든 비트가 변함 2) 페이스텔(Feistel)과 SPN 구조 -> 블록 암호 ★5Feistel (개미와 베짱이 임무 교대) - 입력을 좌우 블록으로 분할하여 한 블록을 라운드 함수에 적용시킨 후의 출력 값을 다른 블록에 적용하는 과정을 좌우블록에 대해 반복적으로 시행(교대) - 강도를 결정짓는 요소는 평문 블록의 길이, 키의 길이(무차별공.. 2025. 5. 16.
[정보보안기사필기] 운영체제 구조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컴퓨터 시스템의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 사용자가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여러 프로그램의 모임-> 처리 능력 향상, 신뢰성 향상, 응답시간의 단축, 자원 활용률 향상, 가용성 향상 운영체제의 분류-> Batch Processing System : 일괄처리-> Multi Programming System : CPU가동률 극대화, 스케줄링에 의해 작업 수행-> Time Sharing / Multi-tasking System : 멀티 프로그래밍의 논리적 확장-> Multi-Processing System : 가용성 증대를 위한 여러 개의 CPU를 활용한 다중작업 가능-> Real-time System : 시간에 제약을 두어 즉시 처리하고 .. 2025. 5.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