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Programming166 [Network] 인터넷 서비스 품질 QoS(Quality of Service) Qos(Quality of Service) 데이터를 어느정도로 신뢰성 있게 전송하는지를 의미 (신뢰도와 직결) - 데이터의 분실, 전송 지연, 지연값의 일관성(지터) 등을 기준으로 전송 품질 판단 - 연결형 서비스를 위한 것 (TCP/회선교환방식) - 비연결형 서비스에서도 일부 지원 (UDP/패킷교환방식-가상회선방식,데이터그램방식) QoS 매개 변수 - 연결 설정 지연 : request 프리미티브 발생과 confirm 프리미티브 도착 사이의 경과 시간 - 연결 설정 실패 확률 : 임의의 최대 연결 설정 지연 시간을 기준으로 연결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확률 - 전송 오류율 : 임의의 시간 구간에서 전송된 총 데이터 수와 오류 발생 데이터 수의 비율 - 전송률 : 초당 전송할 수 있는 바이트 수 - 우선순.. 2021. 1. 11. [Network] 전송 오류 제어 방식 전송 오류 제어 방식 1. 전진 에러 수정(FEC, Forward Error Correction)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를 검출하여 오류 재전송 요구없이 스스로 수정하는 방식이다. 송신측에서는 문자나 프레임에 오류 검출을 위한 부가 정보를 추가시켜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송신측으로부터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받은 데이터에 존재하는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한다. ARQ방식과는 달리 재전송 요구가 없기때문에 역채널이 필요 없고, 연속적인 데이터 흐름이 가능하다. 데이터 비트 외에 오류 검출 및 수정을 위한 비트들이 추가로 전송되어야하기때문에 전송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대표적인 예로 해밍코드방식과 상승코드방식이 있다. 2. 후진 에러 수정(BEC, Backward Error Correction.. 2021. 1. 5. [JavaScript] window.open 새 창을 열 때 WindowName이 같으면 새 창이 겹쳐서 열리는 문제 html이나 jsp에서 onclick으로 함수를 호출하여 새 창을 열 때 창 이름이 같으면 새 창이 겹쳐서 열리는 문제가 발생 이걸 말로하려니 되게 설명하기가 어려운데 예시를 들어 설명을 해봐야겠다.. A B param1 : '안녕' param2 : '헬로' param1 : '안녕' param2 : '하이' 리스트에서 A, B 두 개가 있을 때 param1이라는 데이터가 중복된다. 이럴 때 WindowName을 param1로만 한다면, A를 클릭해서 새창을 띄우고 B를 클릭한다면 A의 새창이 B의 새창으로 바껴버리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데이터가 다른 param2를 WindowName에 추가하여 각각 다른 새 창으로 열리게끔 설정해준다. window.open(url, param1+param2); win.. 2020. 12. 30. [JAVA] iText API를 이용해 html을 PDF로 변환 후 다운로드하는 예제 itextpdf.com/en/resources/api-documentation API documentation Currently we have lists of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APIs) directories for iText 5, iText 7 and several add-ons. itextpdf.com 예제를 보기전에 꼭 확인 해주세요! 초보개발자가 저처럼 삽질하지않길 바라면서 포스팅을 시작합니다.. 구현해놓고보면 전혀 어렵지않은데 자잘자잘하게 너무 번거롭고 귀찮은 작업이에요ㅠㅠ(인코딩, 서버의 차이 등등..) 윈도우 서버에서는 html파일을 만들어 pdf생성이 가능했으나, 리눅스 서버에서는 The document has no pages라는 에러가 발생했.. 2020. 12. 29. [Network] 인터네트워킹 / 라우팅 / 자율시스템 IP 인터네트워킹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IP프로토콜(주소)을 이용해 연결한다. - 인터넷에서 IP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방식 - 송수신 호스트간의 여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걸쳐 주소 형태로 패킷 전달 가능 - 양쪽 MAC 계층이 다르면 패킷 변환 기능 필요 라우터A는 PPP헤더로 변환 / 라우터B는 PPP헤더를 ATM헤더로 변환 - 필요 시 패킷 분할과 병합 과정도 수행 패킷이 특정 MAC 계층에서 전송하기에 너무 큰 경우 수행 라우팅 - 라우터의 역할은 수신된 IP데이터그램을 적절한 경로로 전달하는 것 - 라우팅 테이블의 경로 정보 변경은 네트워크 구성이 변경된 경우만 가능 - 고정 경로 배정, 적응 경로 배정 라우팅 테이블 라우팅 테이블의 값은 목적지 네트워크의 주소와 해당 목적지에.. 2020. 12. 22. [Error] Could not publish to the server.java.lang.IndexOutOfBoundsException 톰캣 서버 실행이 안되는 오류.. Could not publish to the server. java.lang.IndexOutOfBoundsException C:\Users\USER\.m2\repository 이클립스 종료 후!! 위 경로 아래의 파일들을 모두 지우고 메이븐 업데이트를 받는다. 2020. 12. 21. [System Programming] 프로젝트 디자인 - 에러코드확인 / 명령프롬프트 에러 코드 확인 - 오류의 원인 확인 및 해결 방법 필요 - Windows 시스템 함수 호출 시 오류 발생 - GetLastError 함수 호출을 통해 오류 원인 확인 가능 / Windows 시스템 함수 오류 발생시 NULL 반환 명령프롬프트 명령 프롬프트에서 명령어 추가하기 int CmdProcessing(void) - 명령어를 입력 받아 해당 명령어에 지정된 기능 수행 - Exit가 입력되면 TRUE를 반환, 프로그램 종료 2020. 12. 20. [System Programming] Windows, UNIX / 32bit vs 64bit 운영체제 win64비트와 win32비트의 구분 방법 - CPU가 버스를 통해서 한 번에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 - 데이터 처리 능력(명령어 포함) - 메모리에서 CPU에 한번에 전달할 수 있는 명령어의 개수에 따라 달라짐 1) 32비트 - 데이터를 4byte 단위로 처리 및 송신 - 32비트의 컴퓨터에서 최대 RAM의 크기는 4G바이트 2) 64비트 - 데이터를 8byte 단위로 처리 및 송신 - 64비트 컴퓨터에서 최대 RAM의 크기는 16테라 바이트 내부 메모리에 해당하는 램의 주소 - 운영체제에서 프로그램을 위한 가상의 주소 - 주소의 표현 범위가 넓으면 좋은 이유 -> 메모리 부족으로 프로그램 실행 불가하지 않음 내 컴퓨터에서 RAM 할당 방법 - 주소를 표현하는데 32비트를 활용(2의 3.. 2020. 12. 20. [Network] 네트워크 규모에 따른 분류 / 인터네트워킹(브릿지) 1. LAN (Local Area Network) - 소규모 지역에 위치하는 호스트로 구성된 네트워크(동 규모) - 브로드 캐스팅 방식으로 전송 (특정한 목적지 없음) 1) 버스형 - 공유 버스 하나에 여러 호스트를 직접 연결 - 자기 순서가 와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회가 생김 - 충돌 발생 허용, 이더넷이라는 사후 충돌 해결 방식 2) 링형 - 전송 호스트의 연결이 순환 구조인 링 형태 - 전송한 데이터는 링을 한 바퀴 돌아 송신 호스트로 되돌아 옴 - 토큰이라는 제어 프레임을 사용해 충돌 가능성을 차단함 2.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 LAN보다 큰 지역을 지원 (구 규모) DQDB 구조 지원 - 두 개의 단방향 선로가 존재(양방향으로 데이터 교환) - 분산 .. 2020. 12. 15. [Network] 패킷교환방식 - 가상회선방식/데이터그램방식 패킷 교환 연결을 설정하지 않고(비연결형) 패킷 (쪼개서) 단위로 데이터 전송 패킷의 전송 경로 결정이 가장 중요 패킷 교환 방식의 종류 1) 가상 회선 - 모든 패킷의 경로를 일정하게 유지 - 연결형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기능 -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나누어 전송 - 가상 연결 설정을 통해 전송되는 모든 패킷의 경로가 동일 - 패킷의 도착 순서가 일정 (출발/도착 순서 동일) - 가상 회선 방식이 회선 교환 방식과 유사하지만, 회선 교환 방식은 패킷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파이프 한 프로세스의 출력을 다른 프로세스의 입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프로세스 사이를 연결시키는 논리적인 통신 매체로 파이프를 이용하는 주체는 프로세스뿐만 아니라 호스트, 네트워크 등 다양하다. 2) 데이터 그램 - 서로 다른 .. 2020. 12. 15. [Network] 교환 시스템 - 회신교환/패킷교환 교환 시스템 데이터를 최종 목적지까지 올바르게 전달하도록 데이터를 중개하는 교환 기능 제공 특정 전송 선로에 데이터가 집중되지 않으면서 효율적인 경로 선택 교환 시스템의 종류 전용 회선 방식 수신 호스트와 송신 호스트가 전용 통신 선로로 연결 교환 회선 방식 - 전송 선로 하나를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 - 전화망과 같은 공중 통신망 - 호스트가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중간에 교환 시스템의 중개 필요 1. 회선 교환 방식 (Circuit Switching) - 연결형 서비스 제공(TCP) -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연결 경로를 미리 설정하는 방식 - 고정 대역의 전송 선로를 전용으로 할당 받아 안정적으로 데이터 전송되나 속도가 느림 - 음성 전화 서비스를 통해 발전 - 네트워크의 구조가 단순함 - 모든 데.. 2020. 12. 14. [System Programming] 아스키코드와 유니코드 아스키 코드(ASCII CODE) - 미국에서 정의된 표준 - 1바이트(8비트)로 문자 표현 - 알파벳 26개, 확장 문자 포함 총 256개 문자 표현 유니코드(UNICODE) - 2바이트(16비트)로 문자 표현 - 전세계 언어 표현 가능 - 문자의 종류 65,536개 2020. 12. 14. 이전 1 ··· 3 4 5 6 7 8 9 ··· 1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