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킷 교환
연결을 설정하지 않고(비연결형) 패킷 (쪼개서) 단위로 데이터 전송
패킷의 전송 경로 결정이 가장 중요
패킷 교환 방식의 종류
1) 가상 회선 - 모든 패킷의 경로를 일정하게 유지
- 연결형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기능
-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나누어 전송
- 가상 연결 설정을 통해 전송되는 모든 패킷의 경로가 동일
- 패킷의 도착 순서가 일정 (출발/도착 순서 동일)
- 가상 회선 방식이 회선 교환 방식과 유사하지만, 회선 교환 방식은 패킷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파이프
한 프로세스의 출력을 다른 프로세스의 입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프로세스 사이를 연결시키는 논리적인 통신 매체로
파이프를 이용하는 주체는 프로세스뿐만 아니라 호스트, 네트워크 등 다양하다.
2) 데이터 그램 - 서로 다른 경로를 이용
- 비연결형 서비스
- 패킷을 독립적으로 전송(서로 다른 경로, 경로를 미리 할당하지 않음)
- 정보의 양이 적거나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중요하지 않은 환경에서 사용
- 송신 호스트가 전송한 패킷은 보낸 순서와 무관한 순서로 수신(서로 다른 경로, 네트워크 혼잡도에 따라 가변적)
프레임 릴레이와 셀 릴레이의 탄생 배경
- 패킷 교환 방식이 고안된 시점에는 원거리 디지털 통신 과정에서 전송 오류가 많이 발생
- 물리적 전송 오류를 처리하기 위한 오버헤드 비트 다량 추가
- 송수신 시스템의 오류 처리 과정 복잡
- 교환 시스템에 오류를 검색하고 복구하는 기능 필요
1) 프레임 릴레이 (Frame Relay)
- 동일한 속도의 전송 매체로 고속 데이터 전송을 지원할 수 있도록 고안된 기술
- 개별 연결에서 데이터 프레임과 긍정 응답 프레임을 반복적 교환(프레임 릴레이 방식보다 오류제어 과도)
- 홉(Hop) 단위의 흐름 제어와 오류제어 기능을 수행하지는 않음
- 오류 제어 기능을 단순화하는 작업으로 데이터 전송 효율 크게 향상(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능을 단순하게 설계 가능)
- 전송률 2Mbps 지원 (패킷교환은 64Kbps 지원)
2) 셀 릴레이 (Cell Relay) - ATM방식
- 회선 교환과 패킷 교환 방식의 장점을 모아 고안
- 오류 제어에 대한 오버헤드를 최소화
- 셀이라는 고정 크기의 패킷을 사용 -> 오버헤드 최소화
- 전송률 2~100Mbps 지원
'Programming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인터네트워킹 / 라우팅 / 자율시스템 (2) | 2020.12.22 |
---|---|
[Network] 네트워크 규모에 따른 분류 / 인터네트워킹(브릿지) (0) | 2020.12.15 |
[Network] 교환 시스템 - 회신교환/패킷교환 (0) | 2020.12.14 |
[Network] 네트워크 강의 - 프로토콜의 이해 TCP/IP (0) | 2020.12.02 |
[Network] 네트워크 강의 - 네트워크의 주소 체계 및 표현 (0) | 2020.12.02 |